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요동치는 부동산 시장과 정책 뉴스분석으로 짚어봅니다. 경제부 이남희 차장과 함께 합니다. 오늘의 뉴스 키워드는 뭔가요. <br> <br>기자. 오늘의 뉴스분석 키워드는 '집값 불면증'입니다. <br><br>Q 1. 오늘 국회를 찾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최근 부동산 정책 논란에 대한 부담감을 드러냈죠? <br> <br>부동산 정책 '컨트롤 타워'인 김현미 장관의 최근 심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한 장면인데요. 먼저 보시겠습니다. <br><br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“(집값 문제를) 한시도 잊지 않는다. 요즘 잠도 잘 못 자고…” <br><br>[손학규 / 바른미래당 대표] <br>(기자들에게) 국토부 장관이 잘 하시나. <br><br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못 한다고 난리가 났다. <br><br>김 장관은 집값 오르는 것이 가장 가슴 아프다고도 했는데요. 집값 불면증에 시달리는 건 김 장관만이 아닐 겁니다. <br><br>Q 2. 서울 집값이 급등하다보니 당정청이 연일 굵직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습니다. 주택 공급 확대에 당정청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죠. <br><br>시작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였습니다. 그제 최고위원회의에서 주택 공급확대를 언급한 겁니다. 그러자 그동안 공급 충분하다던 김현미 장관도, 장하성 정책실장도 같은 목소리를 냈습니다. <br><br>문재인 정부 들어 부동산 안정대책으로 주택공급 확대 카드가 거론된 건 처음입니다. <br><br>Q 3. 그동안 정부는 서울에 주택 공급이 충분하다고 하지 않았나요? 갑자기 입장이 바뀐 이유가 궁금합니다. <br> <br>김현미 장관은 지난해 취임식, 그리고 8.2 부동산 대책을 발표할 때만 해도 서울에 아파트 공급이 충분하다고 이야기해왔습니다. 먼저 김 장관의 목소리를 들어보시죠. <br><br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해 8월 2일)] <br>내년, 내후년 지어질 아파트도 이미 많이 인허가가 나와 있기 때문에 "공급이 부족하다”고 말할 순 없는 거고요. <br><br>이제까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대출규제 같은 억제 일변도였습니다. 이와 관련해 부동산 전문가들은 "주택 공급 정책도 병행돼야 한다"고 해왔는데요. 이런 시장의 목소리를 정부가 수용한 것으로 보입니다. 집값을 잡기 위해 해볼 수 있는 모든 카드를 꺼내드는 의미도 있습니다. <br><br>Q 4. 특효약 못 찾던 집값, 드디어 잡을 수 있을까요? <br> <br>전문가들은 '주택 공급 확대'라는 정책 방향은 맞다고 동의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먼저 시간의 문제를 따져봐야 합니다. 정부가 신규 주택 공급지역을 발표해 입주까지 약 10년이 걸립니다.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. <br><br>어디에 주택 공급을 늘릴 지도 중요합니다. 현재 정부는 역세권 등에 신규택지를 지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서울 내 그린벨트 해제도 거론됐는데요. 서울 강남권과 가까운 경기 과천에 미니 신도시급 택지를 검토 중이라는 말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장소 선정에 대해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조주현 /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기존 지역의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꽉 묶어놓고서 자꾸 바깥쪽으로만 눈을 돌리는 것은 결국 미분양주택을 양산하는 것밖에 안 된다. <br><br>사람들이 정말 살고 싶어하는 곳에 주택 공급을 늘리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인데요. 지금까지 문재인 정부가 규제 정책으로 오히려 집값 상승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아왔는데요. 부동산을 시장의 자율기능에 좀 더 맡겨두는 것도 좋겠습니다. <br> <br>경제부 이남희 차장이었습니다.